티스토리 뷰

고대 문명에서 꽃은 단순한 장식용 식물이 아니라 신성한 의미를 지닌 존재로 여겨졌다. 특히 고대 이집트에서는 특정한 꽃들이 신성시되어 신전과 왕궁에서만 재배되었으며, 제례나 의식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반면, 중국 황실에서는 왕실의 권위를 상징하는 특정한 꽃들을 지정하여 일반 백성들이 재배할 수 없도록 규정하기도 했다. 이번 글에서는 고대 이집트에서 신성하게 여겨졌던 꽃들과 중국 황실 전용 꽃들의 종류, 그리고 이들의 재배법과 의미를 살펴본다.
고대 이집트에서 신성시된 꽃과 재배법
고대 이집트에서 꽃은 단순한 미적 요소를 넘어 종교적·정치적 의미를 지닌 존재였다. 파라오와 신들에게 바쳐진 꽃들은 특별한 의미를 지니며, 이들 꽃을 키우는 것은 왕실과 사원에서만 허용되었다. 파란색과 흰색의 수련(Nymphaea caerulea, Nymphaea lotus)은 고대 이집트에서 가장 신성한 꽃으로 여겨진 것은 수련이었다. 특히 청색 수련(Nymphaea caerulea)과 흰색 수련(Nymphaea lotus)은 태양신 라(Ra)와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재생과 부활을 상징했다. 수련은 나일강과 그 주변의 연못에서 자연적으로 자라지만, 신전과 왕궁에서는 특별한 연못을 만들어 수련을 재배했다. 이들은 깨끗한 물이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설계된 인공 연못에서 길러졌으며, 수질을 유지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물을 정화하는 작업이 이루어졌다. 또한 수련이 해가 뜰 때 피고 해가 질 때 닫히는 특성 때문에 태양 숭배 의식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붉은 양귀비(Papaver somniferum)는 고대 이집트에서 의약과 종교적 의식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붉은 양귀비 꽃은 생명과 죽음을 동시에 상징하는 존재로 여겨졌으며, 왕실 무덤과 신전 주변에 심어졌다. 양귀비는 비교적 건조한 기후에서도 자랄 수 있는 식물이지만, 고대 이집트에서는 이 꽃이 신성한 식물로 여겨졌기 때문에 일반인들이 재배하는 것이 금지되었다. 대신 왕실 정원에서 관리되었으며, 신전의 제사 의식에서 신에게 바치는 공물로 사용되었다. 헨나(Lawsonia inermis) 식물은 꽃 자체보다는 잎에서 추출한 염료로 유명하다. 그러나 헨나 꽃도 고대 이집트에서 신성한 의미를 지닌 꽃으로 여겨졌다. 헨나 꽃의 향기는 신전에서 신성한 의식을 수행할 때 사용되었으며, 헨나 잎에서 추출한 염료는 미라 제작이나 파라오의 장례 의식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헨나는 주로 나일강 주변의 비옥한 토양에서 재배되었으며, 왕실과 사원의 정원에서 길러졌다. 헨나의 재배법은 섬세한 관리가 필요했으며, 특히 꽃이 필 시기에 맞춰 수확하여 의식에 활용되었다. 이처럼 고대 이집트에서 특정한 꽃들은 단순한 미적 요소가 아니라 종교적·정치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왕실과 신전에서만 엄격하게 재배되었다.
중국 황실에서만 재배된 전용 꽃들
중국 황실은 특정한 꽃들을 황실 전용 식물로 지정하여 백성들이 이를 재배할 수 없도록 했다. 이러한 꽃들은 황실의 권위와 위엄을 상징하는 존재로 여겨졌으며, 황제와 왕족들의 정원에서만 길러졌다. 황금 국화(Chrysanthemum morifolium ‘Jin Ju’)는 중국에서 오랜 역사를 지닌 꽃으로, 왕실에서는 특히 황금빛을 띠는 국화를 선호했다. 황금 국화는 장수와 권위를 상징하며, 오직 황실 정원에서만 재배되었다. 황금 국화는 일반 국화보다 생장 속도가 느리고 관리가 까다로웠다. 황실 정원에서는 국화가 최상의 상태에서 개화할 수 있도록 특정한 토양을 배합하여 사용했으며, 햇빛과 물 공급도 철저하게 조절했다. 또한 가을에 만개하는 국화의 특성상 황실에서는 특별한 국화 축제를 열어 이를 감상하는 행사를 진행하기도 했다. 목련(Magnolia denudata)은 중국 황실에서는 순결과 고귀함을 상징하는 목련을 정원에 심었다. 특히 백목련(白玉蘭, Magnolia denudata)은 황실 여성들의 아름다움을 상징하는 꽃으로 여겨졌다. 목련은 비교적 따뜻한 기후에서 잘 자라지만, 왕실 정원에서는 더욱 세심한 관리가 필요했다. 목련은 토양의 배수성이 중요하기 때문에, 황실 조경사는 목련을 심을 때 특별한 배수 시스템을 도입했다. 또한 꽃이 피는 시기에 맞춰 가지치기를 하여 가장 아름다운 상태에서 개화할 수 있도록 조정했다. 모란(Paeonia suffruticosa)은 중국에서 ‘꽃의 왕’이라 불릴 정도로 황실에서 가장 중요한 꽃 중 하나였다. 붉은색, 분홍색, 흰색 등 다양한 색상의 모란이 있었지만, 특히 황제는 붉은 모란을 선호했다. 붉은 모란은 부와 권력을 상징하며, 황실 외에는 재배가 금지되었다. 모란은 기후와 토양 조건이 중요한 꽃으로, 황실 정원에서는 비옥한 토양을 유지하기 위해 특별한 유기 비료를 사용했다. 또한 개화 시기를 조절하기 위해 정기적인 가지치기와 온도 조절이 이루어졌으며, 꽃이 필 때 가장 아름다운 형태를 유지하도록 정원사가 철저히 관리했다. 이처럼 중국 황실에서는 특정한 꽃을 권력의 상징으로 지정하고, 이를 엄격히 관리하여 황실의 권위를 유지하는 중요한 요소로 활용했다.
현대 조경에서의 응용 가능성
고대 이집트와 중국 황실에서 신성시되었던 꽃들은 현대 조경에서도 새로운 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다. 역사적 의미를 반영한 테마 정원으로 현대 조경에서는 역사적 의미를 반영한 테마 정원을 조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대 이집트의 신성한 연못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수련을 중심으로 한 정원을 만들거나, 중국 황실 정원의 전통적인 조경 방식을 현대적인 공간에 적용할 수 있다. 귀한 꽃을 활용한 고급 조경 디자인 과거에는 특정 계층만이 키울 수 있었던 희귀한 꽃들이 오늘날에는 대중적으로 재배가 가능하다. 이를 활용하여 호텔, 공공 정원, 개인 정원 등에 희귀한 꽃들을 배치하면 독창적인 조경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다. 보존과 연구를 위한 식물원 조성을 고대 문명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던 꽃들은 보존과 연구 가치가 높다. 이를 활용하여 식물원이나 유전자은행에서 희귀 품종을 복원하고, 학술적 연구를 통해 그들의 생태적 가치와 의미를 더욱 깊이 탐구할 수 있다. 고대 이집트와 중국 황실에서 특정한 꽃들은 단순한 장식이 아니라, 신성함과 권위를 상징하는 중요한 요소였다. 수련, 양귀비, 국화, 모란 등은 각각의 문화에서 독특한 의미를 지니며, 엄격한 재배법이 적용되었다. 현대 조경에서도 이러한 희귀한 꽃들을 활용하여 역사와 문화를 반영한 독창적인 정원을 조성할 수 있으며, 과거의 전통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는 노력이 지속될 것으로 기대된다.